심청전, 춘향전, 옹고집전까지~고전 작품을 선생님과 함께 연습하고 연기하고 무대에도 올려봤습니다! 이제, 우리가 직접 연극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... 오늘은 그 첫 시간입니다! 연극에 대해서 공부도 좀 하고... 오늘은 선생님이 준비해오신 사진으로 이야기하고 상황도 만들어 보았습니다! 사진을 보고, 어떤 상황일까 상상도 하고, 직접 그림으로 그려 상상을 표현해 봅니다! 모두 다른 상황, 다른 상상들을 펼쳐보며 4개의 이야기를 만들었습니다.
2021.12-07
창공우암
1년만에 찾아온 국립부산국악원입니다! 방문자 등록도 하고, 관람권도 받고....잠시 대기하고 있습니다. 모두가 들뜬 마음으로 좌석을 찾아 앉고..... 한 자리씩 비워 둔 모양이 이젠 낯설지가 않습니다... 버스타고 오랜만에 나온 나들이 기분에, 여기가 천국이다!!!! 라며 즐거워 하시는 어르신들의 마음이 감사합니다!!!
2021.12-07
창공우암
함께 소리내어 노래부르며, 답답한 마음도 풀고, 눈인사도 나누고, 담소도 나누며 식사하던 그 시간이 그립습니다! 아직 완전하게 모이지는 못하지만, 조금씩 조금씩 한발 한발 내딛어 가는 시간입니다. 모두가 함께하지 못하는 아쉬운 마음을 우리 가락에 담아 힘껏 내지르며, 내일을 기다려 봅니다!
2021.12-07
창공우암
무드등 완성하는 날입니다. 지난 주 잘 말려둔 풍선을 살짝 터트려 주면 안쪽의 풍선은 쏙 빠지고 닥종이 겉면만 남습니다. 이제 장인의 손길처럼 한땀한땀 정성들여 골고루 구멍을 뚫어 줍니다. 송곳을 사용하는 작업이라 다치지 않도록 조심조심하셔야 합니다. 받침대도 만들고 촛불전구를 넣어주면, 은은한 무드등이 완성되었습니다!
2021.12-07
창공우암
오늘 민요교실 B반 어르신들의 수업시간입니다. 오랜만에 소고도 들고, 앞서 배웠던 민요들을 기억을 더듬어 복습해 봅니다
2021.12-07
창공우암
이번 주 주제는 풍선과 닥종이를 활용한 무드등 만들기입니다! 우선 닥종이를 잘게 찢어둡니다. 풍선에 본드를 잘 발라서, 흰색 닥종이를 골고루 붙여 줍니다. 바탕이 된 흰 종이 위에 이젠 색깔을 입혀 봅니다.우리 어르신들은 빨강을 엄~~청 좋아하십니다! 일주일 간 풍선을 잘 말려 두겠습니다!
2021.12-07
창공우암